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빠른예매 바로가기 사이트 지도 바로가기
월간미르 상세

2019년 05월호 Vol.352

동시대 국악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과 성찰

VIEW┃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IV '내셔널 & 인터내셔널'

국립국악관현악단의 국제 교류 역사는 1995년 창단과 함께 시작됐다.

아시아 민족음악과 동시대 현대 국악을 위해 달려온 지난 20여 년을 돌아보며, 세계가 공감하는 음악을 위한 새로운 지휘를 시작한다.

 

 

시카고 만국박람회의 조선 악기 전시(1893), 파리 만국박람회의 대한제국 악기 전시(1900)부터 국가 수립 이후 한국민속예술단의 파리 국제민속예술제(1960), 국립국악원 일본 공연(1964), 한국민속예술단의 멕시코 올림픽 파견(1968), 리틀엔젤스의 해외문화사절단 공연(1965~1976) 등 19세기 말 조선부터 1970년대까지 여러 형태의 국제 교류는 국가를 세계에 널리 홍보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한편 1960년대 초반 루 해리슨·알란 호바네스·황병기로부터 시작된 민간 국제 교류는 새롭게 구성된 국제 현대음악계와 국악이 관계를 맺는 시도였다. 1980년대 사물놀이의 국제적 성공은 현대화·무대화된 국악 공연이 글로벌 공연 시장인 월드뮤직으로 진입하고, 한인 디아스포라가 본국과 음악적 관계를 맺게 한 시대적 사건이었다. 1993년에는 한국·중국·일본 삼국의 전통악기로 구성된 오케스트라 아시아가 결성됐는데, 이는 제국주의가 가져온 서구 중심의 지난 세기를 반성하고, 아시아 전통음악으로 아시아가 서로를 의식하며 연대를 시작한 첫 사건이었다. 숨 가쁘게 전개돼온 국악 해외 교류 백 년의 역사는 국내외 문화 지형의 변화를 배경으로 오늘날 국악을 구성하는 여러 단면과 등장인물을 교차시킨다.

  

   

 

‘국위 선양’ 넘어 성찰적 화두를 제시한 아시아 민족음악의 연대
지난 100여 년간 이 땅의 음악은 민속으로, 국악으로, 문화재로, 전통 공연예술로 무대화·현대화됐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드라마틱한 사건은 ‘서구 오케스트라를 참조한 국악 관현악단의 출현’이었다. 전통음악을 서구 오케스트라의 방식으로 재배치한 국악 관현악단은 서구화에 대한 국악계의 대응인 동시에 현대화를 의식적으로 이루고자 했던 당대 국악계의 생존 방편이기도 했다. 흥미롭게도 ‘현대적 민족음악 오케스트라’의 새로운 연행은 한국에서만 벌어진 사건이 아니었다. 제국주의 시대 식민지를 겪은 탈식민 지형에서 탄생한 민족-국가주의 실천의 세계적 흐름이었다. 이후 이 흐름은 한국 전통음악계를 중심축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 아시아로 연결됐으며, 오케스트라 아시아는 한국에서 국립국악관현악단의 모태가 됐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태생부터 ‘서구에 대항하는 아시아의 연대’라는 과제를 안고 시작된 것이다. 이전에는 아무도 돌아보지 못한 동시대 현대화된 아시아 전통음악으로 ‘음악적 아시아주의’를 화두로 던지며 전통음악의 동시대성적 성찰을 진지하게 모색한 것이다.


1995년 결성한 국립국악관현악단은 ‘한·중·일 개량악기를 위한 협주곡의 밤’(1995)을 시작으로 아시아 음악과의 교류를 확대해왔다. 그리고 ‘한·일 국악관현악 축제’(1996) ‘세기를 여는 2000년의 소리’(1997) ‘2000년을 여는 아시아의 소리’(1997) ‘한·중 국악관현악 축제’(1999) ‘오케스트라 아시아’(2000) ‘한·일 국악관현악 축제’(2001) ‘아시아 민요 축제’(2004) 창단 10주년 기념연주회 ‘세계평화를 위한 아시아 음악제’(2005) 아시아뮤직시리즈 ‘초원의 소리’(2012) ‘대만의 소리’(2014) 베스트 컬렉션III ‘오케스트라 아시아’(2017)에 이르기까지 지난 20여 년간 끊임없이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누구이며 어떤 길을 따라 여기까지 왔는가? 우리는 무엇이 돼야 하며 어디로 가야 하는가?’

 

     

 

국립국악관현악단은 아시아 전통음악 교류의 결과로 악기개량 논쟁의 한복판에 서기도 했으며, 오케스트라 아시아에 참여한 중국·일본 음악과의 협업은 상호 교류의 방식으로 확장됐고, 이에 참여한 연주자들을 진지한 아티스트로 성장시켰다. 교류의 대상도 몽골·대만·베트남·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 음악까지 확장했다. 이후에는 북한과 해외 한인 디아스포라의 음악까지 포용했는데, 2000년 북한 작곡가 최성환의 ‘아리랑’(1976)을 오케스트라 아시아의 연주로 처음 선보인 후 지속적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또한 ‘겨레의 노래뎐’(2000~2009)과 관현악시리즈II ‘다시 만난 아리랑-엇갈린 운명, 새로운 시작’(2018) 관현악시리즈III ‘양방언과 국립국악관현악단-Into The Light’(2019)에서 재일在日과 연변의 지휘자·작곡가·연주자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을 매개로 남한 음악계와 교류를 시작해 성과를 이어갔다. 이렇듯 아시아를 넘어 남북, 디아스포라와의 음악 교류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중요한 정체성이자 역할이다.

 

글로벌 현대음악으로 발전 가능성 보여준 국악 관현악
국악과 현대음악의 교류는 소수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그 역할과 성과는 크다. 1960년대 초반 황병기·루 해리슨·알란 호바네스부터 시작된 이러한 작업은 1970년대 황병기와 미디어아티스트 백남준의 협업, 황병기와 현대무용가 홍신자의 협업, 1990년대 이후 ‘현대음악앙상블 CMEK’와 이지영의 현대음악 작업 등 현재까지 소수 국악 연주자와 국제적 작곡가들의 교류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현대음악과의 교류는 민족음악의 음계와 어법의 한계를 넘어 연주와 해석이 가능한 일정 수준 이상의 예술적 기량이 확보돼야 하고, 이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뒷받침돼야 하기에 선뜻 나서 실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한국 전통예술의 우수성을 잘 소개’하도록 전통음악의 레퍼토리를 배치하는 규범적 ‘국위 선양’의 문화 외교적 교류와는 달리, 국악의 범주를 ‘민속’에서 ‘예술’로, 특수한 ‘민족음악’에서 보편적 ‘현대음악’의 세계로 확장해 글로벌 현대음악의 장 안에 위치시키려는 태도와 지향이다.

 

   

 

 

 

국립국악관현악단과 현대음악의 조우는 2000년대 이후 특히 돋보이기 시작했는데, ‘네 줄기 강물이 바다로 흐르네’(2008) ‘파트 오브 네이처’(2011·2013) ‘리컴포즈’(2014) 관현악시리즈I ‘무위자연’(2016) ‘리컴포즈×상주작곡가’(2018)를 통해 김영동·나효신·박범훈·박영희·김대성·안현정·정일련·보두앵 드 제르·마이클 팀슨·다카다 미도리·치천 리·도널드 워맥·토머스 오즈번·임준희·강은구·김보현·니키 손·최지혜 등 국내 국악계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현대음악 작곡가들의 국악 관현악 곡을 발굴했고 국악 관현악을 감상하는 미학적 재미를 선사했다. 이러한 국제 교류 활동은 국립국악관현악단의 행보를 국제적으로 주목받게 했으며, 현대 동시대 음악으로서 국악 관현악에 대한 재평가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2019년에도 국립국악관현악단은 창작곡·작곡가·지휘자와의 교류를 지속해 민족음악 바탕의 동시대적 음악 어법을 창조하고 열린 횡단적 음악 교류의 미래를 화두로 던지려 한다. 오는 6월 선보일 관현악시리즈IV ‘내셔널 & 인터내셔널’은 김성진 신임 예술감독의 지휘로 국제 무대에서 주목받는 동시대 작곡가 임준희·강준일·탕젠핑·토머스 오즈번의 국립국악관현악단 위촉곡과 초연곡을 무대에 올린다. “우리는 누구이며 어떤 길을 걸어왔고 앞으로 어디로 나아갈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지난한 구도적 과정이 쉼 없이 계속되길 바란다.


김희선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이자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 국제전통음악회 동아시아음악연구회ICTM MEA 회장. 글로벌 맥락에서 근현대국악사를 재해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IV ‘내셔널 & 인터내셔널’
날짜     2019년 6월 11일
장소     롯데콘서트홀
관람료  R석 5만 원, S석 3만 원, A석 2만 원
문의     국립극장 02-2280-4114

사이트 지도

사이트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