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빠른예매 바로가기 사이트 지도 바로가기
월간미르 상세

2019년 11월호 Vol.358

전통공연예술의 새로운 요람, 첫선

두고두고 회자되는 공연 기록┃ ‘제13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제13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전통공연예술의 새로운 요람, 첫선
1982년 5월 15~19일


1982년 5월 15일, 국립극장 야외 놀이마당이 마련됐다. 대극장(현 해오름극장)과 소극장(현 달오름극장) 사이 잔디밭 공간을 활용한 이 공연장은 같은 해 3월 13일 착공에 들어가 약 2개월 만에 완공됐다. 총 244평, 600석 규모의 이 계단식 노천극장은 1미터 70센티 높이의 경사면에 6개의 계단을 만들었으며 계단 한 줄에 100명씩 앉을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기존의 대극장과 소극장 회랑까지 활용하면 약 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야외 놀이마당은 판소리·탈춤·전통음악·전통무용·인형극·마당극 등의 공연 활동을 위해 전문예술인에게 무료로 대관하는 것은 물론 대학생이나 민속공연 동아리에도 발표장으로 제공해 모든 공연을 시민에게 무료로 공개한다는 꽤 의미 있는 원칙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당시 정부가 발표한 1980년대 새 문화정책 5대 역점 과제 중 하나인 ‘민족문화 전통의 계발육성과 창조적 계승’을 능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장선에 있었으며, 제24회 서울 올림픽을 대비한 정책의 일환이기도 했다. 이로써 국립극장은 1981년 10월 28일 실험 무대(구 국립교향악단 연습실) 개관에 이어 기존의 프로시니엄Proscenium 무대를 다양화하기 위한 또 하나의 노력이 결실을 이룬 셈이었다.
야외 놀이마당의 첫 공연은 한국문화재보호협회 주최의 ‘제13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이었다. 5일간 진행된 이 공연의 세부 프로그램은 밀양백중놀이·고성오광대·양주소놀이굿·북청사자놀음·수영야류·좌수영어방놀이·봉산탈춤·꼭두각시놀음·농악십이차·송파산대놀이·가산오광대·하회별신굿탈놀이·남도들노래·강강술래·강령탈춤·통영오광대·동래야류·은율탈춤 등이었다. 당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해마다 한 차례 이상 보존 전수 상황을 일반에 공개하게 돼 있었다. 이 공연에는 무형문화재 18개 종목의 보유자 62명·이수자 97명·전수자 123명·일반전수자 200여 명 등 총 500여 명이 출연했다. 협회는 그동안 적합한 무대가 없어 덕수궁 뒷마당 등에서 공연해오던 것을 비로소 정식 마당 무대가 마련돼 제대로 된 공연을 펼칠 수 있다는 사실에 고무됐다.
공연은 연일 밀려드는 관객으로 성황을 이뤘다고 한다. 사진 자료를 보아도 남녀노소 자유롭게 둘러앉아 공연을 관람하는 풍경이 여유로운 정취를 자아낸다. 다만 당시 일간스포츠 기자 구희서에 따르면 대극장 방면 일부와 소극장 방면 분수대 쪽 두 면에 계단이 연장되지 않았던 것과 무대와 객석을 이어주는 음향 여건이 좋지 않아 일부 공연에 제약이 있던 점 등을 단점으로 지적했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개장 공연에서 특히 타악기 중심의 농악·풍물놀이·북춤·민속춤 등이 야외마당에 썩 어울렸다는 평이 있으며, 대사 중심의 공연은 보기에 불편함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 국립극장에 보존된 ‘제13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관련 자료는 사진 68점·필름 73점·프로그램북 2점이다. 야외 놀이마당은 2002년 원형무대 형태의 하늘극장으로 재개관한 이후, 2008년 현재의 돔 형태인 하늘극장으로 다시 개관하고 오늘에 이른다.


설인재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학예연구사

 

제13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일자 1982년 5월 15~19일
장소 국립극장 야외 놀이마당
주관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주최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프로그램 밀양백중놀이·고성오광대·양주소놀이굿·북청사자놀음·수영야류·좌수영어방놀이·봉산탈춤·꼭두각시놀음·농악십이차·송파산대놀이·가산오광대·하회별신굿탈놀이·남도들노래·강강술래·강령탈춤·통영오광대·동래야류·은율탈춤(공연 순)

 

공연예술자료 이용안내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은 약 21만 점의 공연예술자료를 보존하고 있다. 공연예술 디지털아카이브 홈페이지(archive.ntok.go.kr)에서 누구나 쉽게 자료 검색 및 열람이 가능하며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면 더 많은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문의 공연예술자료실(방문 이용)
02-2280-5834 공연예술디지털아카이브(온라인 이용) 02-2280-5805

 


 

사이트 지도

사이트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