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거문고 - 네가 백악지장(百樂之丈) 이렸다!
산조 통해 새영역 개척하는 거문고우리 조상들이 거문고를 얼마나 소중히 여겼는가는 현재 남아 있는 여러 고 문헌과 악보의 대부분이 거문고 악보인 것으로도 잘 드러 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음악은 자신의 마음을 정화하는 방법 중 하나였다. 한국음악에 있어 거문고 음악은 ‘아정(雅正)한 음악이라 특징지을 수 있겠다. 다른 악기에 비해 음량이 크지 않고 음색이 화려하지 못한 거문고 가 옛 선비들 사이에서 특별한 대우를 받은 까닭은 거문고에서 품위와 웅장함, 소리의 여백에서 오는 어떤 저력 같은 것이 느껴지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 왕조 내내 명분과 유교적 이념에 얽매여 자신의 음악적 가능성을 충분히 시험해 보지 못했던 거문고는 19세기 말경부터 서서히 반동의 증세를 보이기 시작해 20세기 초에 이르러 드디어 본격적인 속악(俗樂)의 대열에 끼게 되었다. 소위 민속악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거문고산조로서 말이다. 거문고는 가야금과 달리 괘(줄을 받치는 조그마한 받치개)라는 것을 가지고 있고, 괘 위에서 소리를 낼 때에는 왼손으로 줄을 위에서 아래로 미는 독특한 주법을 쓴다. 오른손으로는 술대라는 대나무 막대를 사용하여 줄을 치거나 뜯는다. 연주법뿐만 아니라 음색, 음량, 연주 자세에 있어서도 거문고는 자신만의 고유한 영역을 지키고 있다.
거문고의 술대는 거문고산조의 또 다른 가능성이다. 강하게 술대를 내려 칠 때 술대가 줄에 부딪치는 소리가 나는데, 이 타악기적인 부딪힘이 거문고 소리에 역동성을 더해 주는 것이다. 저음역의 개방현 역시 이런 효과에 한몫을 한다. 술대의 존재를 느낄 수 없을 정 도로 여리고 섬세하게 타다가(높은 음역에서), 돌연 술대로 힘을 다해 내려침으로써 가락에 악센트를 주는 것, 그리고 개방현의 풍부 한 여음으로 넉넉하게 바닥을 받쳐 주는 멋! 이것이 바로 거문고산조의 매력이다. 거문고가 속악의 영역으로 들어왔다고는 하나 본래 의 기품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산조라는 새로운 음악 양식을 통해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에 진입했기 때문이다.
현대에 이르러 국악 창작 활동이 급속화되면서 서양의 작곡기법 및 음악어법을 수용하여 국악관현악과 합주곡, 실내악곡 등을 창작 하는 새로운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서 유구한 세월 동안 당당했던 거문고의 자존심은 점차 무너져 왔다. 전통 합주음악인 현악영산회상은 현악기 중에서도 거문고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거문고회상이라 불릴 정도로 거문고의 비중이 독보적인 곡이었다. 하지만 국악관현악에서는 악기의 음색과 음량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악기 편성이 진행되었고, 그래서 전통합주에서 가장 중시되었으며 동시에 충분한 역할을 해 왔던 거문고의 독창적인 소리가 전혀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전통적 합주 양식에서 서구식 관현악단의 체제로 변화하면서 생겨난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국악의 대중화가 피할 수 없는 숙제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적인 서구화를 추진하면 오히려 우리 음악 발전에 저해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하겠다. 물론 급변하는 문화의 흐름과 대중들의 서구화된 감성은 무시될 수 없으며, 또 국악관현악에서의 좀 더 세련된 앙상블을 위하여 거문고 연주자 각자가 노력하고 개선해야 할 부분도 분명히 있다.
6현거문고와 개량거문고
현거문고는 오동나무를 앞면으로 하고, 밤나무를 뒷면으로 하여 붙여 만든 울림통 위에 16개의 괘를 버팀목으로 달았으며, 그 위에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 6줄의 현을 올려 만든 악기이다. 악기를 무릎에 두었을 때 몸 쪽부터 차례로 문현, 유현, 대현, 괘상청, 괘하청, 무현이라 일컫는다. 대현이 가장 굵고, 문현, 무현, 괘상청, 괘하청, 유현의 순서로 가늘 어진다. 유현, 대현, 괘상청 3줄은 16개의 괘 위에 얹고, 문현, 괘하청, 무현 3줄은 안족 (기러기발) 위에 놓여진다. 악기를 무릎에 놓고, 오른손으로는 해죽(海竹)으로 만든 단단 한 술대를 잡는다. 현침(絃枕, 줄의 머리를 걸치는 침목) 가운데를 술대 끝으로 내리치거 나 뜯으면서 소리를 내는 것이다. 왼손의 약손가락은 유현, 가운뎃손가락은 대현을 각각 누른다.미래의 거문고
고거문고산조는 정서의 심연을 자극하는 완성도 높은 음악이다. 최근 태교음악 연구가들은 태아의 인성 형성과 발달에 있어 거문고산조의 효과에 주목하고 있으며 엄선된 태교음악 에는 예외 없이 거문고산조가 포함되어 있다. 이렇듯 거문고는 동적이라기보다는 정적이며, 외부 지향적이라기보다는 내부 지향적인 악기로, 연주 기법이 난해해 대중들에게 쉽지 않은 음악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실제 다 른 국악기에 비해 대중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전통성과 정통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인의 오감을 채워 줄 수 있는 대중성 확보 방안은 거문고 연구가나 연주자들이 풀어야 할 과제 이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숙원 사업이기도 한 악기개량은 이런 과제를 풀 수 있는 강력한 해 결 방안으로 부상되고 있으며, 거문고 주자들은 연주 기법 개발과 더불어 악기개량에 심 혈을 기울이고 있다. 민족의 깊은 정서를 잘 담고 있는 거문고 소리는 이제 국악의 정신 적인 지주 역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대중에게 친숙한 소리로 조금씩 조금씩 다가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