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2009년 시작된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정오의 음악회》는 매달 친절한 해설과 다채로운 국악관현악 프로그램을 선보여, 처음 접하는 관객도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 명실상부한 국립극장 대표 스테디셀러 공연이다. 친숙한 음악부터 대중가수·뮤지컬배우·소리꾼 등과 함께하는 코너, 그리고 이번 시즌 새롭게 선보이는 코너로 관객의 신청곡을 연주하는 ‘정오의 리퀘스트’까지! 60여 명 연주자의 웅장한 사운드와 대한민국 대표 아나운서 이금희의 해설, 국립국악관현악단 부지휘자 최동호의 지휘, 그리고 소담한 간식과 남산의 풍경은 오직 《정오의 음악회》에서만 만날 수 있는 품격있는 즐거움이다.
지휘: 최동호 | ||
정오의 3분 | '빛의 향연' | 작곡 손다혜 |
정오의 협연 | 대금 협주곡 '화연(花.淵)' | 작곡 조원행 협연 배근우 |
정오의 리퀘스트 | 행복을 주는 사람 | 편곡 홍민웅 |
정오의 스타 | 가수 나들(일기예보) | 편곡 홍민웅 |
정오의 관현악 | 통일을 위한 반달 환상곡 | 작곡 김대성 |
※ 프로그램은 주최 측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지휘┃최동호 국립국악관현악단 부지휘자.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에서 작곡을 전공하고, 현재 동 대학원 한국음악학과에서 국악지휘를 전공하고 있는 차세대 지휘자다. 제8회 대한민국 대학국악제에서 동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2017·2018 대학국악축제 <중앙대학교> 공연 등에 지휘자로 함께했다. 2020년 서울시청소년국악단 <새로고침> 지휘자 공모에 당선, 국악계의 주목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무대를 마쳤으며, 2023년 국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국립국악관현악단과 인연을 맺었다. | |
해설┃이금희 1989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방송 활동을 시작해 <6시 내고향>과 <아침마당> 등 TV 진행자로, <이금희의 가요산책> <이금희와 함께 음악의 숲을> 등의 라디오 DJ로 활약해 왔다. 현재도 KBS 라디오 <사랑하기 좋은 날 이금희입니다>를 진행하며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1993년부터 <국악 한마당> MC를 맡으면서 30년의 인연을 지속하게 되었다. 1999년부터 2021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겸임교수로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유튜브 채널 <마이금희>를 개설해 유튜버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말하기에 관한 책 『우리, 편하게 말해요』를 발간해 베스트 셀러가 됐다. | |
협연┃배근우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후, 한양대학교 국악과 음악학사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국악학과 기악(대금)전공 음악학 석사를 마쳤다.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악 이수자인 그는, 제30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대금 은상, 제25회 한밭국악경연대회 기악부 대상 등을 수상했다. 국립국악고등학교 방과 후 강사 및 시간 강사로 출강한 바 있으며, 국립국악관현악단 인턴 단원을 거쳐, 현재 국립국악관현악단 대금 파트 단원으로 재직 중이다. | |
협연┃나들(일기예보) 가수 일기예보 나들은 1989년 MBC 강변가요제에 동상으로 입상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가수로 데뷔했다. 1993년 일기예보 1집 《일기예보》부터 현재까지 30년 이상 활동을 이어온 베테랑 가수다. 1990년에 제2회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에 참가해 '소녀 이야기'로 동상을 수상했으며, 1992년 015B 3집에 객원싱어로 참여해 '널 기다리며'를 불렀다. 히트곡으로 '좋아 좋아' '인형의 꿈' '그대만 있다면', 'Beautiful Girl' ' 자꾸 자꾸' 등 다수의 곡들이 있으며, 현재는 솔로 활동을 하고 있다. 2020년부터 '민사운드쇼1' '민사운드쇼2' 아티스트로 참여하고 있으며, 2023년 KBS 일일드라마 <내 눈에 콩깍지> OST - 어떻게 사랑 안 할 수 있어', 2021년 JTBC <싱어게인> 출연, 2020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출연 등 방송을 통해서도 대중과 꾸준히 만나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