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공연
“긴장감이 넘치고 강렬하며 흥미로운 작품.
에반 플레이시의 밀도 높은 가족 드라마는 가해자가 아닌 피고인의 어머니에 초점을 맞춘다.”
- The Stage
“빈틈없이 완성도 높은 연극” - WhatsOnStage
★★★ 2011 Samuel French Canadian Play Contest ★★★
★★★ King’s Cross Award for New Writing ★★★
★★★ Tarragon Theatre’s RBC Under 30 National Playwriting Competition ★★★
눈이 가득 덮인 캐나다, 하나의 사건으로 세상의 시선이 달라졌다.
쉴 새 없이 언급되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기자들이 터트리는 수많은 플래시
“네 아들이 하룻밤에 여자 세 명을 강간했어.”
당혹감은 분노, 두려움, 죄책감에 휩싸이고 출구 없는 미로 속으로 거침없이 몰아세운다.
‘그를 위해 희생하느냐, 그로 인해 희생되느냐’
진실에 맞서는 그의 어머니는 과연, 어떤 선택을 내릴 것인가
어머니로서의 본성과 인간으로서의 이성, 그 찰나의 경계
연극, 영화, 드라마까지 다방면에서 대체 불가한 존재감으로 사랑받는 배우 김선영이 7년 만에 무대로 돌아온다.
지극히 평범했던 아들이 끔찍한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되면서부터 시작된 혼돈. 배우 김선영은 ‘그의 어머니’로서의 본성과 이성 사이의 괴리에서 혼란과 고뇌를 시시각각 분출한다. ‘본성’, ‘이성’이라는 본질적인 키워드는 인간의 내밀함을 들여다보는 연출가 류주연에 의해 치밀하게 구성되며 불편한 진실을 가감 없이 들춰낸다. 돌고 도는 무대 위 마지막 촛불이 꺼지는 순간, 우리는 새로운 딜레마를 마주하게 될 것이다.
불현듯 낯설어진 아들, 사방에서 몰려오는 비난.
어머니는 희생자이자 괴물이 되어간다.
어머니의 사랑은 어디까지 달려갈까?
그리고 그 대가는 무엇일까?
두 아들을 위해 아침식사를 요리하는 브렌다의 평범한 아침.
하지만 그녀의 얼굴은 이미 모든 신문의 표지를 뒤덮었다.
8살의 둘째 아들 제이슨은 학교에 가기를 거부하고, 10대 소년인 첫째 아들 매튜는 2층에서 가택연금 중인 상황. 브렌다는 끔찍한 범죄를 저지른 자신의 아들이 미성년자(청소년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도록 싸우고 있다. 그 과정에서 그녀는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데...
작 에반 플레이시 번역 이인수 연출 류주연
무대소품 이희순
조명 박성희
의상 최원
분장 이동민
음악 RAINBOW99
음향 이고은
영상 장주희
움직임 조하영
조연출 김경빈
컴퍼니매니저 김지윤
출연
브렌다 카포위츠 役_김선영
제이슨 카포위츠 役_최자운
매튜 카포위츠 役_최호재
로버트 로젠버그 役_홍선우
제시카 役_이다혜
스티븐 役_김용준
테스 役_김시영
작가 에반 플레이시
캐나다-영국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며, 현재 영국 런던에 거주하고 있다.
그의 데뷔 작품인
그는 Jugend Theatre Preis Baden-Wurttemberg (Germany), Scenic Youth prize (France), Brian Way Award, Royal Society of Literature’s Literature Matters Award, the Writers’ Guild Award for Best Play for Young Audiences (all UK) 등 여러 상을 수상했고, 그의 희곡은 12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TV 작품으로는 Soulmates (AMC/Amazon), The Bay (ITV), The Tattooist of Auschwitz (Sky) 등이 있으며, 최근 Brit List에 이름을 올렸다.
주요작품
<Girls Like That>, <Orange Polar Bear>, <Keepy Uppy>, <Consensual>, <Jekyll & Hyde>, <Pronoun>,
<WiLd!>, <Scarberia>, <Holloway Jones>, <Banana Boys>
연출 류주연
극단 산수유 대표
다양한 군상들의 내면에 대한 섬세한 표현과 관객과의 탁월한 공감대 형성으로 주목받는 연출가이다. 번안극 <경남 창녕군 길곡면>, <허물>, <12인의 성난 사람들> 등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번역극에 내재한 토착화의 한계를 자연스러운 표현과 보편적 감정에 주목하여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왔다.
주요 작품
<고트>, <12인의 성난 사람들>, <당신은 아들을 모른다>, <공포가 시작된다>, <누란누란>, <후회하는 자들>, <기묘여행>, <별무리>, <경남 창녕군 길곡면>, <1945>
[알립니다] 그의 어머니
■ 주요 안내사항
- 국립극단 <그의 어머니>는 아역 배우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보호자와 아역 배우 전담 매니저가 함께하여 아역 배우가 부적절한 장면과 대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연습 환경을 조성하여 제작합니다.
- 본 공연은 일부 장면에서 부분적인 신체 노출이 포함되어 있으며, 조명 사용으로 인해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공연 소요시간이 155분(인터미션 15분 포함)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예매 및 관람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 국립극장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모바일 예매, 전화 예매, 방문 예매는 공연 전일 오후 5시까지만 가능합니다.
■ 트리거 워닝
본 공연에는 작품의 전개상 성범죄를 의미하는 단어와 욕설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14세 이상 관람가 (2011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까지)
- 관람 연령 기준은 생년월일을 가장 최우선으로 확인합니다. 나이 확인은 육안으로 불가하오니 생년월일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 여권, 주민등록등본 등을 반드시 지참하셔야 티켓 수령이 가능합니다.
- 관람 연령에 맞지 않거나 나이 확인이 불가한 경우,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티켓이 있더라도 입장은 불가하며 관련 취소/환불/변경이 되지 않사오니 예매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관람자 본인 아이디로 예매하시고, 관람 당일 예매자 본인 신분증 및 예매번호를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 대리 수령 및 양도는 불가하며, 개인 간의 거래 및 양도에 의한 피해는 예매처 및 공연장에서 해결이 불가합니다.
■ 할인 선택 시 할인정보를 상세히 확인하시고, 선택한 할인 증빙자료를 반드시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 관람 당일 예매 시 선택한 할인의 증빙으로만 할인 적용이 가능하며, 증빙자료를 미지참하시거나 해당되지 않는 경우 정가 기준의 차액을 지불하셔야 티켓 수령이 가능합니다.
- 할인가가 동일하더라도 관람 당일 현장에서 다른 할인으로 변경 적용되지 않습니다.
■ 접근성 회차 운영 안내
- 4.11.(금), 4.12.(토), 4.13.(일) 회차는 접근성 회차로 운영합니다.
- 음성해설, 한국수어통역, 한글자막해설, 이동지원 서비스, 무대 모형 터치투어 이용이 가능합니다.
- 객석 내 음성해설 수신기 사용으로 인한 기기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접근성 회차에 한하여 장애인 관객을 위한 일부 좌석 우선예매(2024.11.19.(화) 14시-11.30(토) 17시)를 시행합니다.
- 접근성 회차 상세 내용은 국립극단 홈페이지 (*접근성 회차 확인하기) 를 통해 확인 바랍니다.
■ 휠체어석 예매
- 예매방법: 국립극장 콜센터 (02-2280-4114)
- 휠체어석 위치: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무대를 정면에 두고 1층 왼쪽블록 후면 3석, 1층 오른쪽블록 후면 3석
- 휠체어석에서 전동 및 일반 휠체어 모두 앉으신 상태 그대로 관람 가능합니다.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오시는 길
-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 6번 출구 남산순환버스 정류장 앞에서 공연 1시간 전부터 20분 전까지 10분 간격으로 셔틀버스가 운행됩니다.
- 대중교통 이용 시 국립극장 홈페이지 내 이용안내-오시는 길 (*오시는 길 바로가기) 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차 및 교통 혼잡으로 당일 관람이 불가하거나 관람을 포기한 경우, 당일 예매 취소/환불/변경은 불가하오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쾌적한 관람 환경을 위해 공연 시작 후 객석 입장은 불가하거나 최소화하여 운영합니다.
- 입장이 허용될 경우 지연 입장 안내를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
- 공연 중 퇴장 시 재입장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 공연 전 무대 사진과 커튼콜 촬영이 가능하며, 이를 제외한 공연 중 사전 협의되지 않은 촬영은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