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은 <완창판소리 – 이소연의 적벽가>를 5월 17일(토)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공연한다. 국립창극단 창악부 부수석이자 다수의 창극 작품에서 주역으로 활약하고 있는 이소연 명창이 박봉술제 ‘적벽가’로 생애 첫 완창 무대를 선보인다.
이소연 명창은 11세 때 소리를 좋아하던 아버지의 권유로 자연스럽게 판소리의 길에 들어섰다. 판소리 ‘적벽가’ 예능보유자 송순섭 명창의 문하에서 소리 공부를 시작했다. 이후 송순섭 명창에게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를, 안숙선 명창과 정회석 명창으로부터 각각 ‘춘향가’ ‘심청가’를 사사하며 판소리 다섯 바탕을 두루 익혔다. 2004년 대한민국 최대 국악 경연 대회인 임방울국악제에서 판소리 일반부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실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2007년에는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적벽가’ 이수자로 선정되었고, 같은 해 국립창극단 주최 차세대 명창으로도 발탁되며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소리꾼으로 자리매김했다. 2013년 국립창극단 입단 이후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 옹녀 역, <심청가> 황후 심청 역, <춘향> 춘향 역 등 국립창극단의 대표 레퍼토리에서 주역으로 종횡무진 활약하고 있다. 이외에도 뮤지컬 <아리랑> 옥비 역, <서편제> 송화 역으로 출연하며 장르를 확장, 2018년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여우신인상을 수상하며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다.
이번 무대에서 이소연 명창이 완창하는 판소리 ‘적벽가’는 중국 한나라 말 삼국시대 위·촉·오나라를 배경으로 조조·유비·손권이 천하를 제패하기 위해 다투는 내용의 중국 소설『삼국지연의』에 나오는 ‘적벽대전’을 중심으로 한다. 고어와 사자성어가 많고 풍부한 성량이 요구돼 판소리 다섯 바탕 중 가장 높은 난이도를 자랑한다. 특히 작품 속 등장하는 장군들의 소리를 통성과 호령조로 불러야 하는 만큼, 탄탄한 공력 없이는 소화하기 어려운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중에서도 이 명창이 선보이는 박봉술제 ‘적벽가’는 송흥록-송광록-송만갑-박봉래-박봉술로 이어지는 계보다. 또렷하면서도 거친 통성으로 내지르며, 기교보다는 대마디대장단을 활용해 툭툭 던지듯 풀어내는 소리가 특징이다. 스승 송순섭 명창은 “아무리 성음이 좋은 악기도 말을 전달할 수 없듯, 가사의 의미를 잘 알고 불러줘야 한다”라고 강조해 왔다. 이소연 명창은 가사의 의미와 이면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발음은 물론 장음과 단음에도 유의해야 한다는 스승의 가르침을 되새기며 연습에 매진하고 있다. 이 명창은 정확한 발성과 발음은 물론 특유의 담백하면서도 맑고 높은 성음을 바탕으로 그동안 창극 배우로서 갈고닦은 연극적 표현력을 첫 완창 무대에서 한껏 펼칠 계획이다.
‘적벽가’에는 수많은 감정의 변화가 드러나는 만큼 ‘조자룡 활 쏘는 데’ ‘적벽대전’과 같이 박진감 넘치는 대목부터 ‘새타령’ ‘군사설움타령’ 등 처연한 아름다움을 지닌 대목까지 폭넓은 감정을 능수능란하게 표현하며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고수는 대전광역시 무형유산 제17호 판소리고법 예능보유자인 박근영 명고가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하며, 해설과 사회는 유은선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겸 단장이 직접 맡아 관객의 이해를 돕는다.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는 1984년 12월 ‘신재효 타계 100주기 기념’으로 처음 기획된 후 1985년 3월 정례화된 이래, 지금까지 40년간 꾸준히 공연되고 있다. 판소리 완창 공연으로는 최장·최다를 자랑하고 있으며, 당대 최고의 소리꾼들이 올랐던 꿈의 무대로 인정받고 있다. 소리꾼에게는 최고 권위의 판소리 무대를, 관객에게는 명창의 소리를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2025년에도 전통의 정체성을 지키며 소리 내공을 쌓고 있는 소리꾼이 매달 이 무대를 통해 소리의 멋을 제대로 느낄 줄 아는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전석 2만원, 예매·문의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